조선시대의 맞쌍, 김홍도(檀園)와 신윤복(蕙園)
사제지간이자 연인으로 그려지는 '바람의 화원'과 달리
실제 두 사람이 교류한 흔적은 역사적으로 찾아볼 수 없다.
모두 화원 가문 출신으로 천부적인 소질을 타고났음에도 불구하고,
김홍도는 정조의 총애를 받았던 반면 신윤복은 당대 실력을 인정받지는
못했던 것으로 보이고, 역사적 기록도 찾아보기 힘들다.
사극에서 김홍도와 신윤복
단원 김홍도는 1745년 김해 김씨 김진창의 증손으로 양반가에서
태어났다. 외가가 대대로 화원을 배출한 미술가 집안이었기에
어려서부터 그림에 뛰어났고,일곱살에 도화서 김응환의 제자가 됐다.
김응환은 당시 유명한 문인 화가인 강세황에게 김홍도를
소개했으며,도화서에 정식으로 들어간 김홍도는 1771년
왕세손인 이산의 초상화를 그릴 만큼 화원으로 재능을 인정받았다.
1776년 영조에 이어 이산이 정조로 보위에 오르자,
김홍도는 규장각도를 바쳤고,1781년 정조의 초상화를 그렸다.
정조는 "그림과 관계된 일이면 모두 홍도에게 하게 하라"라고
할 정도로 김홍도를 총애했다.김홍도는 성품 또한 '군선도'를
그린 것처럼 호방하고 신선과 같은 풍류를 즐기며 살았다고 전해진다.
조희룡이 쓴 '호산외사'에 따르면 김홍도는 말년 너무 가난해
조석으로 끼니조차 잇기 어려웠지만 시장에서 본 매화를 보고
사고 싶어 자기 그림을 3000냥에 팔아 2000냥으로 매화를 샀으며,
나머지 돈으로 지인을 초대해 술잔치를 벌였다.
김홍도는 김응환과 함께 1788년 금강산 산수화를,
1789년 일본 지도를 그려오라는 어명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1789년 김응환이 부산에서 병으로 죽자 홀로
대마도로 가서 일본의 지도를 모사해 돌아왔다.
1790년에는 사도세자를 위해 지은 사찰인 용주사 대웅전에
삼세여래후불탱화를 그렸으며
1795년 충청도 연풍에서 현감으로 임명되기도 했다.
김홍도는 소금 장수로 부를 축적한 거상 김현태에게 그림을
그려주는 대신 경제적 지원을 받아 활발히 그림 활동을 할 수 있었지만
말년에 생활이 어려웠다.1805년 병으로 위독했다는 기록이 있으나,
정확한 사망 연도는 알려지지 않았다.
신윤복은 화원 가문인 신한평의 장남으로 1758년 태어났다.
도화서 화원으로 벼슬이 첨절제사에 이르렀으나 속화(俗畵)를 즐겨
그려 후에 쫓겨났다는 이야기만 전해질 뿐 개인적인 생애와
사망 시기에 대해서는 기록이 전무하다.
다만 권력과 조정의 그늘에서 벗어나 살았으며,
유교 사회로부터도 소외당했다고 보는 학자들도 많다.
신윤복은 기생과 한량, 별감이나 포졸 등 하급 잡직 관료들의 모습을
그렸으며, 봉건 사회와의 갈등 속에서 자신만의 예술 세계를 고집했고
대부분의 작품에 짤막한 찬문(贊文)을 담아 감각적인 글솜씨도 발휘했다.
'기방무사' '월하정인' '혜원전신도' 등이 대표작이며 그림 속에
자주 자신을 등장시켰다는 학설도 있다.그림 인물 중, 주변 모습을
물끄러미 쳐다보는 이가 바로 신윤복 자신이며,이는 장난기 섞인
에로티시즘이자 세상을 관조하는 풍자적인 의미라고 학자들은 주장한다.'
처네를 쓴 여인'이 1829년 그린 작품이라,
19세기 초까지 활동한 것으로 짐작된다
잘 사용되지 않았던 화려한 색을 주로 사용하여
선정적이면서 은근한 노골적 표현이 돋보인다.
성적인 남녀의 표현이 전부가 아니라 권력의 부조리나 윤리관에 대한
비판의식이 담겨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대표작인
〈미인도〉<단오도> 을 봐도 그가 표현하는 작품의 색깔을 느낄 수 있다.
미인도
가진 단아한 여인이 섬세하게 그려져있는데 단조로운 그림
이지만 노리개를 만지는 손이며,살짝 고개를 숙인 얼굴이며,
여성스러워 보이는 한복의 매무새까지,
신윤복의 뛰어난 묘사력을 대표해주는 작품이 될만합니다
정확하지는 않습니다.
기다림
누군가를 기다리고 있는 여인의 모습입니다.
하고 있습니다.
마음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청금상련
벼슬 높은 양반들과 기생들의 모습입니다.
있는 남자등을 그린 작품,남녀를 바라보며 한심하다고
느끼는 듯한 표정의 남자는 신윤복 자기 자신의 생각을
투영 시켰다고 보고 있습니다.
담넘어 들어온 나뭇가지가 남녀의 모습을 훔쳐보고
싶어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계변가화
개울가에서 빨래하는 여인들의 모습과 그 옆을 지나는
젊은 사내의 아슬아슬한 감정을 표현했습니다.
청루소일
방안에 여유로운 양반이 앉아있고 마루에는 생황을 든
여인이 있으며 전모를 쓴 기생이 마당을 들어서고 있는
적막한 오후 한 때의 기방 풍경을 그렸습니다.
주유청강
산 대신 강으로 나간 소풍이라 할 수 있겠다.
수염이 긴 늙은 선비는 점잖게 뒷짐을 지고 있는데 비해,
젊은 선비는 기생의 마음을 끌기위해 뭔가 속삭이고 있습니다.
단오풍정
신윤복의 그림 중 가장 빼어난 수작 중 하나.
단오를 맞아 개울가에서 머리를 감고 몸을 씻는
여인들의 모습을 그렸습니다.
주사거배
이 그림의 술집은 선술집입니다.
왜 선술집인가? 선술집이란 이름은 지금도 드물게 쓰이고
있습니다. 대개 부담없이 '쌈직한 술집'이란 뜻입니다.
그러나 의외로 정확한 뜻을 아는 사람은 드물니다.
선술집은 주당들이 모두 서서 술을 마시기 때문에 그렇게
부릅니다. 선술집에서는 백 잔을 마셔도 꼭 서서 마시고
앉지 못하였다고 합니다.
만약 앉아서 마시는 사람이 있다면,다른 술꾼 패거리가
"점잖은 여러 손님이 서서 마시는데, 버르장 머리없이
주저 앉았담. 그 발칙한 놈을 집어내라"고 하면서 시비를
걸었고, 이때문에 큰 싸움이 벌어지기도 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 그림에서도 앉아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유곽쟁웅
기방 문 앞에서 대판 벌어진 싸움 모습입니다.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