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원 신윤복

금수강산 1 5,605 2014.05.17 21:10

김홍도와 함께 풍속화의 쌍벽을 이루었다.

본관은 고령. 자는 입부(笠夫), 호는 혜원(蕙園). 아버지는 화원(畵員)이었던 한평(漢枰)이다.

그의 생애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으며, 단지 도화서(圖畵署) 화원으로 벼슬이 첨절제사(僉節制使)까지

이르렀다는 사실만 알려졌을 뿐이다.

그의 풍속화는 소재의 선택, 구성, 인물의 표현방법 등에서 김홍도의 풍속화와는 현저히 다른 경향을 보여준다.

 

김홍도가 소탈하고 익살맞은 서민생활의 단면을 주로 다룬 데 반해, 그는 한량(閑良)과 기녀(妓女)를 중심으로

한 남녀간의 춘의(春意)를 주로 그렸다.

김홍도와의 차이는 인물 묘사에서 더욱 뚜렷이 나타나는데, 대체로 얼굴이 갸름하고 눈꼬리가 치켜올라간 형태로 인물을 그리면서

섬세하고 유연한 선과 아름다운 채색을 적절히 사용했다.

그러나 산수(山水)를 배경으로 풍속화를 전개시키는 경우에는 산수에 보이는 석법(石法)이나 준법(?法)·수파묘(水波描) 등에서

간혹 김홍도의 영향이 보이기도 한다.

 

신윤복의 작품에는 남녀간의 애정을 그린 것 이외에도 무속(巫俗)이나 주막의 정경 등 서민사회의 풍모를 보여주는 순수한 풍속화도 적지 않게 포함되어 있으며, 산수화는 담묵(淡墨)과 담채(淡彩)를 주로 사용해 참신한 감각의 분위기를 표현하는 등

조선 말기 이색화풍의 대두에 선구적 역할을 했던 윤제홍(尹濟弘)의 화풍과 유사하다.

 

신윤복은 대부분의 작품에 짤막한 찬문(贊文)을 쓰고 자신의 관지(款識)와 도인(圖印)을 덧붙이고 있는데,

유교적 도덕관념이 강했던 시기에 속된 그림을 자기의 작품이라고 떳떳이 밝히는 행위가 가능했던 것은

당시 그림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변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그의 화풍은 후대의 화단에 많은 영향을 미쳐 작가 미상의 풍속화나 민화 등에서 그의 화풍을 따른 작품들이 많이 눈에 띈다.

대표작으로는 〈연당야유도 蓮塘野遊圖〉·〈미인도 美人圖〉·〈단오도 端午圖〉·〈무무도 巫舞圖〉·〈산궁수진 山窮水盡〉·

〈선유도 船遊圖〉·〈산수도 山水圖〉 등이 있다.

 

출처:다음백과사전

 

 

미인도

 

 

 

 전모를 쓴 여인

 

 

 

 단오풍경

 

 

 

 월야밀회

 

 

 

기다림

 

 

 

 가야금 타기

 

 

 

 뱃놀이

 

 

 

 봄소풍

 

 

 

 연당

 

 

 

주막풍경

 

 

 

 칼춤

 

Author

Lv.1 금수강산  골드
0 (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Comments

금수강산 2014.05.17 21:16
음악<EMBED style="FILTER: xray gray()" src="http://221.145.178.204/nrichdata/multi/aod/special/05/06.mp3" width="0" height="0" AllowScriptAccess="never" loop="true" showstatusbar="-1" volume="0" invokeURLs="false" allowNetworking='internal' allowScriptAccess='sameDomain'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allowNetworking='internal' allowScriptAccess='sameDomain'>
글이 없습니다.
글이 없습니다.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