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이 김치 (오이 소박이)

김도윤 33 5,867 2007.09.20 15:06
오이 김치 ( 오이 소 박이)

재료 –한국오이 10개
          고추 가루
            부추
          양파 큰것 하나
            마늘 2통
            한국 간장
            파  5단
            향이 없는 꿀 세숫가락 정도 
            소금 –오이를 간할 정도

한국오이 조금 길고 파란색이 나는 것으로 10개는 우리 미국에서
흔이  쓰고  있는  김치병 큰것에 한병 정도 담을 양이다.

우선 오이를 께끗이 앃어서 오이를 5-6쎈치 정도로 잘라서 한쪽 부분으로 십자로 예쁘게 짤라서 오이가 서로 붙어 있을 정도만 남겨 놓고 한개 한개 소금을 발라
절인후  약 2-3시간 후에 소크리에 담아 소금끼를 살짝 씻어 낸 다음 소쿠리에 물이 잘~ 빠지게 해놓는다.

양념 --부추를 흙이 없도록  잘 씻어서 3센치 정도로 썰어 주고 양파는 옆으로 채썬것 같이 아주 얇게 한번만 설어 주고  파는 아주 잘게 썰어고 마늘은 조금 굵게
갈아 서 지금까지 준비한 양념을 한국간장에 꿀을 두고 무쳐서 간을 볼때 조금
짭잘하게 하여서 오이 속에 골고루 (조금 많이씩) 넣어 김치 병속에 넣어  하루를 밖에 두었다가  1주쯤 후에 먹으면 잘 익어서 새큼한 오이 소박이를 먹을 수가 있다.

혹시 양념이 조금 남게 되면 병위에 오이를 덮어 주면 더좋다. 그렇게 빨리 익는것을 원치 않을 경우는 약 2주 정도 냉장고 속에 두면 적당하게 익은 오이 소 박이를 먹을 수가 있다
 
 

Author

Lv.1 김도윤  골드
0 (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Comments

pigeon 2007.09.20 21:28
  새우젖이나 멸치젖국 대신 간장을 쓰는것이 특이하군요.이렇게 담구는 오이김치 레시피가 궁중요리인가요? 요즈음 유행하는 언어 "웰빙"을 위하여 자주 담궈 먹어야 겠어요..^^
김도윤 2007.09.23 17:10
  네 ! 그렇습니다  궁중 요리란 별것이 앓이지요 .옛날 (임금님께 진상 하던 음식이지요 ) 우리나라사람들은 부유 한사람보다 가난하게 살아온 사람들이 많이 있었기 때문에 서민들이 여러 가지 재료를 구할수도 없었지만 교통이 불편하였던 탓이기도 한것 갔습니다
옛날에는 꿀이라면 약 혹은 보약 같이도 생각을 했어요 궁중 요리는 뜨겁지 않은 요리에만 꿀을 많이 썻던것으로 보면  꿀은 열을 가하면 꽃으로 부터 얻은 좋은 영양가를 파괴 할것같아서  특히 꿀은 야채나 뜨겁지 않은 음식에만 에만 들어 갑니다.한국 간장을 쓰는 음식은 오이 소배기 이 외에도 여러가지 음식이 있습니다
김도윤 2007.09.25 00:18
  녹두 로 빈대 떡을 만드는 법

재료 --녹두 껍대기 있게 반으로 쪼개진 녹두 한포
          잘익어 맛이 있는 김치 반병
          소고기 또는 되고기
          계란 두개
          파 2 단
          참기름 2 수푼
          마늘 다진것 1 테불 수푼
          요리에 두는 술 3 테불 수픈
          기름 (자기 가족이 좋와 하는 기름
1  녹두를 하룻밤 물에 담구어 부른다음 조리나 박아지로 돌을 일어주어야 한다
 2  잘 일은 녹두를 물없이 갈수 있는 믹서로 곱게 간다
  3  고기는 조금 글게 갈아서 쓰고
4  김치는 잘게 썰고
5  파는 3센치 정도로 썰어 준다
6  감자 가루 또는 정포 묵가루 2 테불 수푼
준비 된 김치 그리고 소고기 (되지고기) 계란 다진 마늘 감자 가루 또는 청포 묵가루를 계란 참기름 요리에 넣는 술 재료 전부를 잘 석어서 자기 식구가 좋와 할수 있는 기름으로 도틈하게 너무 쎈 불을 피해서 고기가 잘익도록 부쳐 내면 된다
김도윤 2007.09.25 09:30
  송편 만드는 법

쌀가루 1포
깨소금 2 컵
설탕 반겁
살가루 조금
솔잎 약간

준비된 쌀가루를 조금 되게 반죽 한다
3분의 일을 끌는물에 삶아낸다
생반죽하고 익은 반죽을 합쳐서 반죽한다
준비되여 있는 깨와설탕 그리고 쌀가루를 조금 넣고 소금으로 간을 맞춘다
쏠잎이 준비되여 있지 않으면 송편을 찌지말고 끓는물에 삶아 내는 것이 더 예쁘게 되고 쉽다
예쁘게 빚은 송편을 익은 후 송편에 참기름을 약간 발라준다
김도윤 2007.09.26 23:28
    마늘쫑 을 맛있게 만드는 법

재료 --1 마늘 쫑 조금
2 고추장 마늘쫑에 골고루 묻을 정도
3 꿀 조금
4 통깨 조금
만드는법 --- 펄펄 끓는물에 소금을 조금 집어 넣고 마늘쫑을 5 쎈치정도로 짤라서 부드러운 부분만 살짝 데쳐낸다. 색갈이 누런빛 나기 전에 건저내어 찬물에 씻어 물기를 없애주고 고추장, 꿀, 통깨 를 넣고 고추장이 골고루 묻도록 무쳐 주면 아주 맛있는 마늘쫑 요리가 된다. 마늘 쫑에는 다른 양파나 고추가루 파 같은 양념을 필요 없다
박방자 2007.09.27 00:58
  너무나 감사하네요. 제가 한가지씩 시도해보겠어요. 냠냠냠.....
김도윤 2007.09.27 17:59
  멸치 볶음
재료--멸치, 외간장, 오리부유, 요리 술, 설탕,통깨, 후추가루
만드는 방법 --기름은 오리브 오일 또는 참기름으로 하되 올리브오일을 쓸때는 (EXTRA LIGHT-열을 가할때에 씀) 를 써야 한다 EXTRA VIRGIN은 생야채나 빵을 찍어 먹을때 쓰는 것이다.
멸치는 자기 가족이 좋아하는 크기로 하되 물에 빨리 한번 씻어서 소쿠리에 건져서 오랜 시간 두지말고 물기 없이 털어서 후라이 팬에 기름을 넉넉하게 붓고 달구어 멸치를 넣고 천천히 볶아내고 다른 그릇에 옮겨 놓고 후라이팬에 간장 조금 술 조금 설탕을 넣어서 설탕이 녹게 되면 약한 불에 멸치를 천천히 보기 좋은 색이 날 때까지 잘 볶아 주어야 멸치의 비린내가 없어 진다
만약에 고추나 다른 양파같은 것이 좋아서 같이 석어서 먹고 싶은 분은 멸치를 다른곳에 옮기고 후라이 팬에 따로이 볶아 주어서 나중에 합칠때 후추가루 통깨 같이 석어서 먹으면 손색 없는 멸치 볶음이 된다
김도윤 2007.09.28 17:28
  오이지 와 오크라를 같이 담그는 법

재료 –1 오이 10개 정도 (한국오이)
2 사과 맛이 있는것 한개
3 양파 중간것 한개
4 마늘 반통
5 파 반단
6 꿀 한컵
7 오크라 10-12개
8 소금 사분의 일컵

만드는 방법—오이지는 아주 짜지 않게 담아서 먹는점이 아주 좋은 점이다
오이를 간간한 소금물에 절여준다 (오이를 병에 넣고 잠길 정도의 물)
다음날 아침 오이를 소금 물에서 건져 소쿠리에 놓고 오이를 간했던 물을 약 5 분간 끓여 주고 식은후에 준비되여 있는 꿀을 잘 풀어 준다
준비되여 있는 김치병에 사과를 잘 씻어서 껍데기 채로 8 등분하고 양파와 마늘도 굴게 설고 파는 깨끗이 씻어서 긴채로 넣어 주는 것이 더욱 좋다
오이는 세워 놓고 오크라는 중간 중간 넣고 준비된 소금 물을 오이가 잠길 만큼 넣어 주고 하룻밤을 밖에 두고 냉장고에 넣었다가 일주 후면 잘익은 오이지와 오크라지를 먹을 수가 있다
싱싱힌 오크라를 반으로 갈라서 녹말을 살짝 입혀 기름에 튀겨 먹는것을 일본 사람들은 무척 좋아 한다
이렇게 담은 오이지와 오크라 지가 웰빙 야채 요리이다 이렇게 오크라지를 담근것을 미국 사람들도 무척 좋아 한다 [ 2007/09/28 ] <>
김도윤 2007.09.28 21:03
  맛 있는 수제비를 만들기(2 인분)

재료-- 1밀가루 1 파운드
      2 소고기 적당양
      3 들깨 반컵
  4계란 1개
  5 양파 중간것 1개
6 오리부유 2 수푼
7 한국간장
  8 감자 큰것 하나
  9 소금 조금
10 감자 녹말 2 수푼
  11 요리술
만드는 법—  밀가루  감자녹말  올리부유 계란을 한대 썩어 놓고
              양파와 요리술을 넣고 한국간장에 간을 마추어 만들어 놓은 육수에서 양파는 건저 버린다
              믹써에 들깨를 넣고 약간의 물을 붓고 갈아낸 들깨물로  질쭉하게 반죽울한다
              펄펄 끓는 육수에 먼저 감자를 깍아 굴찍하게 썰어 넣고 수제비 반죽을 얄팍하게 뜯어 끓는 육수에 넣어잘 익힌다 감자와 들깨 향이 잘 어을려서 아주 맛이 있다
김도윤 2007.09.29 13:15
  오크라 요리법

방법 --소고기를 잘게 썰어서 양파 마늘 파 약간의 설탕 외 간장 요리 술 을 넣고  고기가 거의 익었다고 생각이 들때 오크라를 잘 씻어 물기를 없이  준비를 하였다가 살짝 복아 낸후 후추가루 와 통깨를 넣어 주면  아주 맛이 있는 오크라 요리가 된다
김도윤 2007.09.29 14:52
  콩 자반 을 만드는법

콩을 하루 저녁 깨끗이 씻어서 물에 담구어 놓되 물을 너무 많이 부어 놓으면 콩의 단맛이 빠지기 때문에 콩위에 손가락 두 마디 정도만 부어 주면 아주 콩이 잘 불는다
아침에 세번정도 잘 씻고 돌을 골라 내고 냄비에 콩을 담아 놓고 역시 콩을 불릴 때 와같은 양의 물을 붓고 연한 불에 뚜껑을 열어 놓고 약 40 분동아 끓으면 콩이 아주 잘 익는다 .외간장 설탕을 조금 많이 넣고 약한 불에 20분 정도 다시 쫄이되 사람이 불옆에 서서 콩자반이 타지 않도록 간장이 조금 남아 있다고 생각 할때 불을 꺼주어야 한다 맛있는 콩자만에 통깨를 약간 넣어 주면 맛이 더~좋아 진다
pigeon 2007.09.29 19:51
    마늘쫑 맛있게 만들어 먹었답니다.살짝 삶아서 꿀과 고추장으로~~볶은깨도 한몫하구요...한여름 무더위로 잃었던 입맛을 찾게 해 주셔서 감~사 합니다
매운고추 2007.09.30 22:06
  풋 고추같이 생긴 오크라를 소고기를 가진 양념을 하고 살짝 볶아 먹어 보니 쬴깃 하면서 참 맛이 있네요 참,별맛으로 먹었습니다 요즘은 조금 작은 것으로 사야 실패를 하지 않습니다 옥크라는 6월 - 7월 까지 두달 동안이 제철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pigeon 2007.10.01 23:31
  동문님들, 오이소박이 만들어서 온 가족과 함께 즐기세요~~담가서 하루는 밖에 두었다가 냉장고에서 일주일..후 먹으니까 아삭 아삭 정말 맛있어요....^^
김도윤 2007.10.10 21:36
  웰빙 음식 (콩 비지 만들기)평양식

재료— 1 햇콩 3컵
      2 잘익은 김치(작은 김치병으로 2 분의 일
      3 되지고기 또는 소고기도 됨(적당양)
      4 참기름 3 스픈
      5 요리 술 3스픈
      6 파 한단
      7 마늘 후추 가루 깨소름 약간
      8 양파 작은것 1개
               
만드는 법  콩을 하루 전날 잘 싯어 물에 담구었다가 돌을 고루고
            콩우에 손가락 한마디 정도 물을 붓고 믹써에 갈아 준다
            김치 고기 참기름 양파 (굴직하게 썰고)요리술을 넣고 살짝 복는다 고기가 반쯤 익었다고 생각할때 미리 갈아 노은 콩을뽁은 김치우에 부어  중간 까지 끓은면 나무 주걱으로 김치와 간콩      이 잘 석기도록 주어 준다(너무 자주 주우면 비지가 삭아서 껄껄 하고 맛이 없다)
            뚜껑을 열고 지켜서서 넘지 않도록 연한 불에 약 20분 정도 은 후에 더 약한불에뚜껑을 덥고 20 분 정도 끓이면서 뜸을 드린다
양념 간장  마늘 다지고 파는 아주 잘게 써설고 하국간장 외간장 일대 일
            고추가루 후추가루 참기름 깨솜을 넣고 양념장을 만들어서 비지에 간을 마추어 가면서 김치나 무 생채를 곁드려 먹으면 아주 식 욕도 돋구어 주고 요즘 말로 웰빙 음식이다       
 
김도윤 2007.10.11 00:23
  김도윤 토란국 (가을 음식)
재료 –1 토란 7 개
2 밀가루약간
3 찹쌀가루 2 컵
4 파 한단
5 당면 조금
6 한국간장
7 요리술 3스픈
8 작은 양파 한개
요리 하는 법

토란을 깨끝하게 깍아 밀가루를 물에 풀어 넣고 토란을 담구어 놓아야 토란 색이 검게 변하지 않는다
찬물에 고기 덩어리 양파 요리 술을 넣고 삶아 내여 맑은 육수를 만들고 양파는 건져 버리고 한국 간장에 간을 마춘다 토란을 아주 크게 썰어서 펄펄 끓는 육수 속에 찹쌀 가루를 되죽 하게 반죽하여 경단을 빚어 토란하고 같이 넣고 냄비 뜨껑을 덥고 찹살 경단이 익을 정도면 토란도 아주 잘 익는다 특히 미국 에서 우리가 흔이 구할수 있는 토란은 찰 토란이라 아주 맞이 있다 잘익은 소고기 덩어리를 얄팍하게 썰고 국에 파를 5쎈치 정도로 넣어 살짝 익여서 파 토란 찹쌀 경단썰어 놓은 고기 를 같이 국 그릇에 곁드려 떠 넣으면서 미리 삶아 놓았던 당면도 조금씩 넣어 국 그릇에 퍼서 놓으면 보기도 좋고 맛도 좋다
김도윤 2007.10.11 12:50
  닭 고기 미역국

재료  1 닭다리 7곱개 (4 인분)
      2 미역 적당양
      3 한국 간장
      4 참기름
      5 요리술 3 테불 스픈
만드는 법 ㄱ) 미역을 차거운 물에 약 30분전에 담구어 미역이 불은후
            물을 어없이 하고 미역을 두손으로 5분정도를 비며 준후 넉넉한 물에 3 번정도 헹거 소쿠리에 건져 적당하게 썰어 준다
          ㄴ) 달고기를 4인분이 조금 넘을 정도로 물을 잡아 요리술을 두고 잘익도록 삶아서 한국간장에 간을 맞추어 준후 펄펄 끓을때 미역을 넣고 미역이 살캉 할때까지 잠깐 끊여야 맛이 있다 

          ㄷ) 만은 분들이  미역국에는 참기름을 두기를 즐기나  사실 참기름 없이 국을 끓이는 것이 더욱 단백 하고 맛을 더하여 준다
ㄹ) 닭고기 미역국을 너무 많은 분들이 잘 모른다고 하기에 여기에 올려 들입니다 특히 미국에는 닭고기가 흔하고 값도 싸다
닭고기 미역 국에는 후추 가루 외에는 양념이 필요 없다 
           
김도윤 2007.10.18 22:26
   
 
 289 , 1   
 
 
 김도윤    2007-09-20 18:15:16   
 
 CIMG5603.jpg ( 110.8 KB )  Download : 0 
 
 메주를 쓰는 방법 과 간장 담구는 법 (한국 간장 고추장 된장 담구는법) 
 

 
 
 
재료—콩 약 10파운드
소금 몰턴  –아이가 우산을 쓰고 있는 소금 3통
큰 김치병-- 3개
잘익은 마른 고추 15개         

콩 약 10 파운드를 물에 깨끗이 앃어 일어서 (돌을 골라내기)
하룻밤  물에 담구어 놓는다 .
콩 위에  물이 10쎈치쯤 되도록 물을 아주 많이 부어 두어야 넉넉한
물에 콩이 잘 불게 된다

밑이 두꺼운 잘 타서 붇지 않는 냄비에 부른 콩을 넣고 콩 위로 물이 손가락 세마디 정도의 물을부어  냄비 뚜껑을 덮지 말고 끓기를  기다렸다가 가운데 까지 끓기를
시작 하면  불을 반쯤  낮추어 천천히  끓을수 있게 지켜서 서 약 20분간은 넘치지 않도록 불을 점점 낮추어 주면서  나무 주걱으로 냄비 밑에 콩이 타지 않도록 긁어주며 자주 저어 주어야 한다. 

그렇게 해서 약 30분 경과 하면 낮은 불에 냄비 뚜껑을 덮어 약 2시간 정도 삶으면
콩이 잇몸으로 씹어도 될  정도로 잘 익은 후 100% 면 ( cotton) 벼개 잍을 새것으로
장만하고 큰 양푼 에다가 벼개 잍을 넣고 그 안에 익은 콩을 소쿠리에  바쳐서 콩물은 따로 간수하고  벼개 잍속에는 물기 없는 콩만 넣고  잘 묵은후에  깨끗한 장화위에  정갈한 비닐 봉투를 씨워서 삶은 콩이 잘~~익여 지도록 골고루 밟아준다.

잘익여진 콩을 식기(뜨거울때) 전에 빚여야 잘 비져 진다. 계란 5-6개 정도 크기로 비져서 넓은 소쿠리에 널어서 식탁위에 올려 놓고 하루 두번쯤 위 아래로 바꾸어 가면서 말린후 약 5일후  깨끗한 비닐 봉투에 약 5개씩 넣어 히딩 패드( Heating  Pad) 중간 온도로 켜고 큰 타올 을 깔고  위에 메주를 담은  비닐 봉투를 올려 놓고 두터운 담요나 잘쓰지 않고 있는 이불을 덮어 하루 두번쯤 위 아래로 바꾸어 주면서 띠우면 아주 잘 뜬다.

콩을 삶은 날부터 약 10일후면 간장을 담굴 수가 있다.
김치병 큰 병에 물을 60% 붓고 소금 보통 Coffee 잔으로 고봉 3개 반을 넣어야 장으로 성공을 한다
잘뜬 메주를 반으로 쪼개여 병 입구까지 넣어주고 마른 고추를 한병에 5개씩  넣어주면 보기도 좋고 맛도 좋아 진다.

어떤분들은 너무 짜다고 소금을 적게 넣으면 100%로 실패를 하니 조심해야 한다.

장을  담구은 날부터 100일이 되는 날 (달력에 표시를 하면 좋다)메주를 건져서 버리고  나머지 병에 남은  물이 간장이다. (궁중에서 먹던 간장)
여기서 나온 메주를 옛날에는 흔이  된장으로 먹는 집은 40일 만에 메주를 건져서 된장으로 먹기도 했다고 한다.  이런 방법은  간장도 된장도 모두 맛을 내지 못한다. 이런 방법은 서민들이 그렇게 해서 먹었다고 한다. 

따로 간수 해놓은 콩 삶은 물은 병에 따로 보관을 하고 3일후 소금 1컵을 넣어둔다.( 냉장고에 넣어 둘 필요가 없음 )
간수를 했다가 간장을 담그는 날 병마다 나누어 미리 넣어 주면 더욱 맛나는 간장이 나온다.

다음 번에는 고추장  --그리고 된장 담구는 법  계속 ~~




 


 
 
 
 
안정혜 2007.10.19 04:39
  선배님! 평양식 웰빙음식(콩비지)이 간절히 먹고 싶습니다. 평양에서 오신 어머니께서 자주 만들어 주셨거든요 저도 너무~ 너무~ 좋아하지요 감사합니다. 선배님께서 음식에도 조예가 깊으시고 ... 좋은 글들도 많이 써주시고 ... 너무나 행복하십니다. 후배드림
김도윤 2007.10.26 13:34
 
고추장을 담그는 법

재료
1 메주는 간장 담는 메주면된다
2 밀가루 10 파운드
3 엿기름 2 파운드
4 설탕 2파운드(조금더 단맛을 좋아하면 3파운드)
5 소금 간을 보면서 넣으면된다 (약 몰톤1통반)
6 고추가루 고추장 색갈이 되면 되지만 좀 더 넣어도 된다

만드는 법

1.  큰 양푼에 밀가루를 쏟아 놓고
2.  약 1 시간전에 풀어 놓았던 엿기름 맑은 물만으로
    밀가루가  밀전병 하는 것 보다 조금되게 풀어놓고
3. 약 한시간 후 밑이 아주 두꺼운 냄비에 60 %
    정도 넣고 중간정도 되는 깨스불에 (전기 는 좋지 않음)
    천천이 나무 주걱으로 냄비 밑을 글어가면서 부어 주며 끓으면
    손가락 한마디 정도 줄어 들 때 까지 끓이다가 설탕을(옛날에는 강 엿을 두었지만
 지금은 부라운 조금 밝은빛) 1 파운드 정도 두고 설탕이 다 녹았다 싶을대 내려놓고
 나머지도 같은 방법으로 하면된다
4.  메주는 간장 담는메주와 동일한 것으로 쓰면된다
5.  메주는 하루 전날 소금물에 담그어 놓았다가 적당한 양 소금물에 아주 곱게 갈아야 한다
6.  엿기름에 개여 끓여 놓은 곳에 갈아 낸 메주 고추가루 소금을 혼합 한다
    국이나 김치 찌게에 두어 먹을 고추 장은 고추장 한병에 40%-30%의
    메주를 넣으면 찌개나 국맛이 좋고
7.  생선회나 상추를 먹는 초 고추장용 은 메주가 10%-15% 면된다
김도윤 2007.10.28 18:03
  * 일본 요리 (스키야끼)

**재료 (4인분)
 1 소고기 1 파운드(고기를 좋아하면 조금 더 두어도 됨)
너무 얇게 썰은 것보다 조금 도틈한 고기가 맛을 더 내준다.
2 한국배추 약간 속잎으로  5 개
3 설탕(브라운)  5 수푼 - 6
4 기꼬망(일본 간장) 반컵
5 양송이 보통크기 10개
6 당근 큰것 하나
7 쑥갓 약간
8 계란 4개
9 당면 약간 (좋아하면 조금 더 준비해도 됨)
10 굵은 파 3대
11 곤약꾸 (일본 특수한 감자로 만든 묵)
12 양파 큰것 한개
13 요리 술 5 스푼

**만드는 법
위에 준비한 야채를 깨끗이 씻어서 소쿠리에 담아 놓고 배추잎을 길게 반으로 먼저 썰고 나머지를 우리 손가락 기장으로 썰어 준다. 당근도 같은 방법이다. 송이 버섯은 1개를 세조각으로 썰어 준다
양파는 반으로 먼저 썰어주고 채를 썰듯. 약간 도틈하게 썰어 준다
쑥갓도 우리 손가락 기장으로 썰고 파도 같은 방법으로 썰어 준다

당면은 팔팔 끓는 물에 넣어 가운데까지 꿇게 되면 뚜껑을 덮었다가 약 3분후에 소쿠리에 건져서 아주 차거운 물에 씻어 놓는다
1 스키야끼는 조금 높은 후라이팬 같은 냄비가 좋다
2 냄비 속에 준비해 놓은 소고기, 요리술 설탕을 넣어 고기가 중간쯤 익었을때 일본 간장을 넣어 주고 물 약 4 - 5 컵을 부어주고 끓기 시작 하면 준비 했던 야채를 넣고 야채가 살짝 익은후 당면 곤약 꾸를 두고 가운데 까지 끓을때 간을 맞추어 퍼내어서 계란을 깨어 작은 볼에 넣고 후추로 양념을 한후 뚜거운 스끼야끼 를 계란을 찍어 먹으면 된다
김도윤 2007.11.04 18:06
  탕수육(소고기 또는 돼지고기)중국 요리

1.  2 인분 소고기 1 파운드 반
2 .오리브 오일 (Light) 5 컵 정도
3 .감자 녹말 또는( 고구마 녹말이 더좋음 ) 2 컵
4 .야채 -- 호박 양송이 당근 배추(양배추도 됨) 오이 양파 표고 버섯 등등 가족이 좋아 하는 야채,  여기에서 몇가지만  쓰면 된다 .
5 설탕 반겁
6 요리술 3 테블스픈
7 식초 5 테불 스픈
8 외간장 5 테이블 스픈

만드는 법

1 .요리 하기 전에 녹말을 약 2시간 전에 물에 담구어 놓는다 녹말에는 물울 조금 넉넉이 부었다가 요리 할때 쯤되면 녹말이 물에서 많이 갈아 앉아있기 때문에 맑은 물은  버리면된다
2 소고기 또는 돼지고기를 먹기 좋은 크기로 썰어서 요리술을 골고루 묻도록 한 다음 약 10 분후에
3 요리 술에 묻힌 고기에다가 녹말을 가볍게 골고루 발라 준다
4 미리 물에 담구어 놓았던 녹말을 요리 술에 재워 놓은 고기위에 쏟아 넣어서 물에 개여진 녹말이 고기에 골고루  묻도록 한다

5. 미리 준비했던 오리부유를 후라이 팬에 넣고 열이 오르도록 기다리고 난후 고기를 하나 넣고 열이 올라 고기가 잘 튀겨진다 싶을때 너무 많이 한번에 넣지말고 적당하게 넣어 약간의 갈색이 나도록 한번만 튀겨내여 튀겨진 고기를 모두 기름에서 건져 내고 다시 기름이 열이 오른뒤에 고기를 넣어 튀겨 내야 바삭 하게 튀겨 내야 맛을 더해 준다(오리브 오일을 쓰는 이유는 코레스톨이 안생긴다고  하니 웰빙 음식을 만들어 먹기 위해 서이다)
 
6. 미리 준비한  야채 중 표고버섯은 먼저 기름에 넣어 잘 볶아 잘 익도록 해야 혹시 기생충이  있으면 죽도록 해야 한다  싱싱한 야채는 먹기 좋은 크기로 썰어서 다른 후라이 팬에 살짝 볶아 내여 튀겨 놓은 고기위에 표고나  야채를  놓고 냄비에  물을 먼저 끓게 준비하여 녹말을 넣어 주루룩 ~~부어 질정도로 가운데 까지 끓도록 익히고 설탕 식초를 달콤 새콤 하도록 넣고 튀겨 놓은 고기와 야채를 담아 놓은 접시 위에 부어서 식기 전에 초간장에 간을 맞추어 가면서 먹으면 고기 맛도 좋치만 야채를 넉넉히 넣어 초간장에 찍어 가며 먹게 되면 싱싱한 야채 의 맛을 더 해 준다
김도윤 2007.11.04 18:08
    *  김장 김치 담그기 (한 병에 3가지 김치를 담그는 법)


재료

1 배추 큰것 3 포기
2 총각 무 5섯 단
3 무 중간 큰것 1 개
4 양파 1개, 파 5단, 마늘 2통, 생강 적당양 , 맛있는 사과 1개
5 젖갈 적당양
6 고추가루 적당양
7 소금 반컵
8 꿀(향이 없는 선인장 꿀이 좋다)

김치를 담그는 법

하루 전날 저녁 무렵 배추를 4 등분 해서 소금을 물에 풀어서
골고루 발라 절여 놓는다
총각기무도 깨끗이 다듬어 주고 무청도 싱싱하면 같이 넣어 같은 시간 살짝 간을 해놓고
다음날 아침에 총각무와 배추를 껫끗이 씻어서 소쿠리에 건져 놓는다
아침 시간 무는 반만 나박 김치를 담는 모양으로 썰어서 약간 간을 해서 절인다
남아 있는 무 반을 채로 썰어 포기 김치 양념 또는 막김치 양념도 같이 한다. 만들때 사과를 곱게 생강이나 마늘처럼 갈아 양념에 꿀도 같이 석여 넣어 준다
4 등분해서 씻어 놓은 배추 한포기, 반은 포기 김치로 양념을 넣고, 남아 있는 배추는 썰어서 막김치 로 썰어서 절여 놓은 무를 한번 물에 살짝 씻어서
포기 김치에 넣고 남은 양념으로 비빌때 무청도 같이 넣어주고 총각 무 는 썰지 말고 통으로 넣었다가 상에 놓을때 썰어야 맛이 더 좋다.

이정도의 양이면 큰 김치병 3 개를 준비하여 총각무는 병 제일 밑에 3 병에 골골루 나누어 담고 양념을 해놓았던 포기배추도 세병에 나누어 담고 맨 웃부분에 막김치(나박 김치) 를 넣고 한병은 냉장고 밖에서 24 시간을 두었다가 냉장고에 넣고 2 병은 담은 즉시로 냉장고에 넣어 약 한달이 지나면 아주 잘익어서 먹기 좋다

추은 지방은 11월 30일 경이 좋고, 뉴욕 지방은 12월 15일 경이 좋을곳 같다 . 더운(LA , 쌘프란 시스코) 지방은 언제나 좋을것 같다
김도윤 2007.11.13 18:43
  소고기 장 조림
재료

1  소고기 (BEEF  FLANK STEAK) 3 파운드
2  성탕 1컵 (영한 브라운색)
3  요리술 3 테이불 스픈
4  마늘 2통 (마늘이나 풋고추 두가지중  한가지만 쓴다 )
중간 매운것  15-20개 
5  양파 중간것 1개
6 계란 삶은것 6개
7  요리술 3분의 1컵
8  기꼬망 (우마 구찌)맛이 있다는뜻 .일본말로 쓰여져 있음
만드는 방법

고기의 결을 맞추어서 우리 가운데 손가각 정도의  길이  그리고 2 손가락정도의 넓이로 썰어 주면 장조림에 아주 적당한 크기라고  생각이 든다
그렇게 짜른 고기를 냄비 (밑이 조금 투꺼은 냄비를) 쓰는것이 좋다
냄비에 고기를 담고 요리 술을 부어주고 약한 불에 올려 놓고 약 3분정도 되면 고기에서 생각 못했던 양의 물이 나온다
장조림에는 물은 전혀 드러가지 않아야 맛을 더해 준다

아주 약한 불에 약 20분정도 끓은후 설탕 외간장(기꼬망 일본 말로 우마 구찌라고 쓰여진 간장이면 더 좋다) 양파를 반으로 조개여서자기 식구가 좋와할수 있는 간으로 넣고 20 분정도 계속 약한 불에 끓게 한후 양파는 건저 내고 삶아서  까놓은 계란 마늘을 집어넣어 1분정도 끓은후  냄비 뚜껑을 열어 놓으면 된다 마늘이 적당하게 익어 쫄깃한 맛을 내주어서 고기와 곁드려서 먹으면 웰빙 음식이 된다
장조림을 식탁에 놓을때는 고기결을 마추어 적당한 크기로 찢어 놓는 것이 우리의풍습 (습관)이기도 하다.끼니 마나 중탕으로 데워서 상에 놓으면아주 좋다 마이크로 오분에 데워내면 고기 맛이 건조해저서 볗로 좋은 맛을 주지 못한다.

참고--계란은 ?  물이 펄펄 끓기를 시작하여 7분이 되여야 완숙이 된다.
onion 2007.11.14 18:36
 
onion  참으로 우리 숙명 동문들 너무 재주가 많이 있습니다. 미국 어느 동네나 지나 가다가 깻 잎이 심어 있는 집 100% 한국분의 집이거든요 꽃밭도 텃밭으로 사용 하여 싱싱한 야채를 키우는 훌륭한 분들이지요.
깻 잎은 이렇게 해도 저장이 됩니다 한여름철 장만했다가 먹기가 좋습니다
멸치 액젖에 가진 양념을 하고 꿀을 조금 많이 넣고 너무 짜지 않게 퀘퀘 골고루 양념을 넉넉히 해서
냉동 실에 만든 그날로 지포빽 에 냉동 시켰다가 한겨울 눈이 펑~~펑 ~` 내릴때 꺼내여 김이나 상추에 올려놓고 밥을 싸서 먹으면 밥을 너무 많이 잡수시게 될터이니 조금씩 잡수시는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김도윤 2007.11.15 23:23
  호박죽

A- corn squash (호박 죽을 만드는 호박아시지요) ?


재료

1 호박 한개
2 밤 삶아 깐것 2컵(너무 작게 쪼개지 말것)
3 자기 식구가 좋아하는 콩 삶은것 한컵
4 찹쌀가루 3 테이불 스픈
5 소금 간을 맞출 정도
6 설탕 5 테이불 스픈

죽을 만드는 법

호박을 스팀에 쪄내여 놓고 조금 식은후 스픈으로 모두 글거내여 물을 적당이 넣어 믹써에 곱게 갈아 내고 찹쌀 가루를 적당양 물 에 풀어 갈아낸 호박에 혼합 하고 콩 삶은 밤 설탕을 넣고 밑이 조금 두꺼운 냄비에 죽을 쓰듯이 약한 불에 가운데 까지 잘 끓여 찹쌀가루가 잘 익을 수 있도록 하고 죽이 너무 되고나 물르면 물로 조정을 적당하게 해 주고 혹시 설탕이 필요 하지 않는 분은 소금으로만 간을 맞추어도 맛이 구수하고 색갈이 아주 노랑색 예쁘고 먹음직 스럽다 .
박방자 2007.11.17 20:32
  제가 좋와하는 호박죽이네요. 단 팟( 앙꼬 팟)을 살짝 넣어서 먹으면 더 맛잇겟지요...
김도윤 2007.11.17 22:08
  그렇습니다 호박 죽에는 자기 가족이 좋와하는 콩 혹시 찹쌀 경단 을 좋와 하는 분은 경단 을 넣어도 맛이있고 Nut 종류를 좋와 하는 분은 잣 이나 호두 종류를 넣어서 먹어도 참좋아요 찰  수수 쌀가루로 경단을 해도 아주 좋습니다
김도윤 2008.07.06 20:05
  돈까스 만드는법

재료 (2인분)
1 ) 되지고기 조금 붉운 색 살 비개가 적은 것
2 )OLIVE OIL (LIGHT) 한컵
3 ) 식빵 두쪽
4 )계란 한개
5 )감자 노말 반컵
6 )와인 3Ta 스픈

만드는 법
준비된 되지고기를 칼등으로 얇팍하게 두드려주고 완인 (포도주)를  골골루 발라준다
준비된 식빵을 적당한 크기로 뜻어서 MIX 기에 넣어 적당 크기로 갈아 낸다
고기에 계란을 잘 풀어 골골루 발른후 후라이 팬에 준비된 기름을 부어 열을 올린다
고기에 빵가루가 묻어 있기 때문에 너무 뜨겁게 열을 올리면 안된다
조금 천천히 바삭 하게 튀겨내어 고기가 잘익도록 튀겨야 맛을 더해 준다

쏘스를 만드는 법

재료
1 ) 일본간장 5 Ta 스픈
2 ) 설탕 (약간 부라운색) 1Ta 스픈
3 ) 토마도 케잡 5 Ta 스픈
4 ) 식초 1Ta 스픈
5 ) 물 간장 양 만큼
6  Olive Oil 1Ta 스픈
7 ) 양송이 작은것 3 개
8 )양파  조금 (글게 다져서 2Ta 스픈)
9 ) 레몬반개 ( 즙으로 짜아 준비 한다 )

만드는 법
송이 버섯을 얇팍하게 썰어주고 양파는 글직히게 다져 주고 양소이와
다져 놓은 양파를 Olive Oil 에 살짝 복은후 위에 재료를 전부 넣고 살짝
끓여 내면된다

야채는 우리 습관대로 양배추를 반으로 갈라 하루 전날 양푼에 칼자국이
있는 대로 물에 담가 두었다가 께끝이 싯어서 얇팍하게 썰어서 같은 쏘쓰를
언저서 먹으면 아주 맛이 있다

쏘스는 양배추 야체에 도 언져서 먹으면 맛이 있기 때문에 넉넉한 양을 해두면 더욱 넉넉 하게 먹을수 잇어서 좋다
 
돈까스 만드는법

재료 (2인분)
1 ) 되지고기 조금 붉운 색 살 비개가 적은 것
2 )OLIVE OIL (LIGHT) 한컵
3 ) 식빵 두쪽
4 )계란 한개
5 )감자 노말 반컵
6 )와인 3Ta 스픈

만드는 법
준비된 되지고기를 칼등으로 얇팍하게 두드려주고 완인 (포도주)를  골골루 발라준다
준비된 식빵을 적당한 크기로 뜻어서 MIX 기에 넣어 적당 크기로 갈아 낸다
고기에 계란을 잘 풀어 골골루 발른후 후라이 팬에 준비된 기름을 부어 열을 올린다
고기에 빵가루가 묻어 있기 때문에 너무 뜨겁게 열을 올리면 안된다
조금 천천히 바삭 하게 튀겨내어 고기가 잘익도록 튀겨야 맛을 더해 준다

쏘스를 만드는 법

재료
1 ) 일본간장 5 Ta 스픈
2 ) 설탕 (약간 부라운색) 1Ta 스픈
3 ) 토마도 케잡 5 Ta 스픈
4 ) 식초 1Ta 스픈
5 ) 물 간장 양 만큼
6  Olive Oil 1Ta 스픈
7 ) 양송이 작은것 3 개
8 )양파  조금 (글게 다져서 2Ta 스픈)
9 ) 레몬반개 ( 즙으로 짜아 준비 한다 )

만드는 법
송이 버섯을 얇팍하게 썰어주고 양파는 글직히게 다져 주고 양소이와
다져 놓은 양파를 Olive Oil 에 살짝 복은후 위에 재료를 전부 넣고 살짝
끓여 내면된다

야채는 우리 습관대로 양배추를 반으로 갈라 하루 전날 양푼에 칼자국이
있는 대로 물에 담가 두었다가 께끝이 싯어서 얇팍하게 썰어서 같은 쏘쓰를
언저서 먹으면 아주 맛이 있다

쏘스는 양배추 야체에 도 언져서 먹으면 맛이 있기 때문에 넉넉한 양을 해두면 더욱 넉넉 하게 먹을수 잇어서 좋다
 


김도윤 2008.07.17 15:07
  쏘스 만드는 법(ㄴ)
2 인분

1 양파 굴게 다진것 테불 수픈으로
수북히 2개
2 양송이 큰것으로 3 개 (얇팍하게 썰어준비 해 놓는다)
3 일본간강 테이블 스픈으로 5 개
4 설탕( 부라운 슈가) 테이불 수픈으로
  수북히 한개
5 오리부유 1 테이불 수픈
6 식초 테일수푼으로 한개
7 토마도 케잡 반컵
8 와인 1 테이불 수픈
9 이테리안 파세리 조금 .허부 (바질)조금을 적당한 크기로 썬다 
10 녹말(감자 가루) 반 T 스픈 ( 물 3 테이불스푼에 )푼다


 만드는 법

스텐 데스로 된 후라이 팬을 살작 달구어 노은후 오리부유를 먼저 후라
팬에 넣고 다져 놓은 양파와 설어 놓은  양송이를 후라이 팬에 넣어 살짝
복은후 불을 꺼 놓고  간장 설탕 식초 와인 (포도주붉은샌이 더욱 좋다)
토마도 케잡을 넣고  살짝끓이다가 이테리안 파세리 와 베이저(Basil) 를 보기 좋은 길이로 썰어 두고 미리 준비 되여 있는 물에 풀어 놓은 녹말(감자 가루)을 넣고 가운데 까지 끓으면 불을 꺼 준다

 (약한 불에 하는 것이 좋다 )
김도윤 2008.08.16 02:12
  마른 명태 조림

재료

1) 마른 명태 한마리
2) 외간장 2 테이 수푼
3) 한국간장 2 테이불 수픈
4) 오리부윤 2테불 스픈(Light)
5) 설탕 1 티스푼
6) 후추가루약간 
7) 고추가루 1티스푼
8) 양파 조금 (파도 좋다)
9) 마늘 다진것 1티스픈
10) 흰색 포도주 1티스픈
11) 물 5 테이불 스깨소금 1티스픈


만드는법

마른 명태를 저녁에 찬물에 명태가  잠기도록 물에 담구어 든다
아침이되면 적당하게 불은 면태를 칼로 적당 크기로 썰어주고
칼로 썰은 명태를 냄비에 넣고 준비되여 있는 재료를 냄비에 넣고 약한 불에 졸여 낸후 제일 나중에 불을 끄고  난후 후추와 깨 소금은을 넣는다 


마른 오징어  (2마리)같은 재료와 같은 방법이다









마른 고사리 복음
 

재료 
(고사리 5인분뽁아내기)

1) 고사리  한봉투 
2) 소고기 조금
3) 설탕  1테이불  스픈
4) 외간장 3테이불 스픈
5) 한국산장 간을 보면서 적당하게
6) 붉은 와인 2테일 스픈
7) 양파 조금
8) 파 3대
9) 마늘 다진것 1테일불 스픈
10) 고추가루. 후추가루. 깨소금
11) 참기름 3테이불 스픈


준비를 하는 법

고사리가 필요한날 약 이일전에 고사리를 적당하게 삶는다 너무 무렁 하지않게 손으로 만져서 조금 꼬들할정도로 삶아 져야 한다
잘 자 삶아진 고사리를 3시간 간격으로 물을 바꾸어 가면서 고사리가 물에 푹 잠기도록 물을 많이 부어 주어야 고사리의 쓰맛을 없이 할수 있다
물에 담긴 고사리는 냉장고 안에 두어야함

만드는 법

소고기를 잘게 썰어서 냄비에 담고 와인 참기름 외간장 한국간장.설탕 을 두고  소 고기가 살짝 익은후 고사리를  적당한  크기로 썰어서 약한불에 복아준다  적당하게 복아 졌다고 생각이 들때 파. 양파. 마늘.고추가루를  두고 살짝 익었다고 생각이 들면 불을 끄고 후추와 깨소금을 넣고 적당하 주어주면된다 





 




오현정 2009.07.17 03:07
선배님 너무너무 유용해요 ^^*
김도윤 2009.09.18 09:38
된장 담는법(메주는 간장을 담은 메주와 동일함)

된장 , 우리 미국에서 쓰고 있는 큰 김치병 한개에 물을 3분의 일을
넣고 메주가 병 에 가득해서 넘지 않을 정도를 담은후 적당한 양푼
에 쏟아 가지고 소금 몰턴 (morton) 을 한컵 반을 을 넣고 1회요 비닐장갑을 끼고
 골고루 소금을 섞어서 다시 병에 넣어 냉장고 속에 6개월  정도를 두어간수하면 먹을 수있다 
 깊숙이 6개월동안 넣어두면 맛이 있고 별로 짜지
않은 된장이 된다. 장이 너무 짜지면 단백한 맛을 내지 못한다
옛날 우리 어머니 시대에는 냉장고가 없어서 아주 짜게 (소금많이 ) 넣어
장을 담아 장독 대에 놓고 먹었다.
글이 없습니다.
글이 없습니다.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